파이썬 초급3 (숫자형 - 자료형)
파이썬 숫자형 자료형 연산자
1. 숫자형
숫자형(Number)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크게 5개로 분류해 보겠습니다.
숫자형 |
예시 |
정수(int) |
1, 2, 123, 0, -1, -50 |
실수(float) |
3.14, -1.592 |
복소수(complex) |
j |
16진수(hex) |
0xFF, 0x46 |
2진수(binary) |
0b100101 |
1. 정수
파이썬 IDLE를 켜줍니다.
정수형(Integer)은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입니다.
다른 언어의 경우 정수라고 변수를 선언해 줘야 하지만 파이썬은 동적으로 데이터 타입을 결정하므로 그냥 선언만 해주면 됩니다.
변수 a에 100이란 정수를 담아 볼 것입니다.
아래의 코드를 써 주세요.
간단한 코드니 설명은 주석으로 하겠습니다.
1
2
3
|
a = 100 #a에 100을 대입해준다
print(a) #a를 출력 해준다.
print(type(a)) #a의 타입을 보여준다.
|
cs |
그럼 실행해 보겠습니다.
실행을 하면 먼저 저장을 해야 한다고 뜨니 프로젝트 폴더에 "2 자료형 1"로 저장을 한 뒤 실행해 보겠습니다.
a는 "100"이 나왔고 Class는 'int'로 a에 정수형인 int로 100이 대입되었습니다.
2. 실수
이제 b를 선언해 봅시다 b는 실수형(Float)로 선언해 봅시다.
아래의 코드를 써주세요.
1
2
3
4
5
6
|
a = 100
print(a)
print(type(a))
b = 10.4
print(b)
print(type(b))
|
cs |
실행해 봅시다.
b에 "10.4"가 잘 대입되었고 'float'즉 실수형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눈치 채신 분들도 있겠지만 여기서 type() 함수가 계속 등장하는데 type함수의 역할은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는 즉 자료형을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그럼 여기서 드는 한 가지 의문이 있습니다.
a와 b가 둘이 합 연산이 될까요? 된다면 자료형은 무엇일까요?
바로 코드로 만들어 봅시다.
이번에는 c를 선언하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써주세요.
1
2
3
4
5
6
7
8
9
|
a = 100
print(a)
print(type(a))
b = 10.4
print(b)
print(type(b))
c = a+b
print(c)
print(type(c))
|
cs |
바로 F5를 눌러 실행해 보겠습니다.
c에는 "110.4"가 들어가 있고 데이터 타입은 'float'입니다.
"100"과 "10.4"는 합연산 하면 "110.4"가 나오고 "110.4"는 실수 즉 Float이므로 c의 타입은 'float'입니다.
3.16진수와 2진수
16진수(Hex)를 만들기 위해서는 방법이 두 가지입니다.
1
2
|
a = hex(10)
b = 0xa
|
cs |
두 가지 방법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2진수(Binary)도 똑같이 선언해 보겠습니다.
1
2
|
a = bin(10)
b = 0b101010
|
cs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연산자
1. 사칙연산
기본적인 사칙연산은 "+", "-", "*", "/"로 합니다.
왼쪽부터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입니다.
이번에는 복잡하게 선언하지 않고 바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1
2
3
4
|
print(a+10) #a에 10을 더한다
print(b-10) #b에 10을 뺀다
print(b*10) #b에 10을 곱한다
print(a/10) #a에 10을 나눈다
|
cs |

자 그럼 실행해 보겠습니다.
우린 "<class 'float'>"밑에서부터 보면 됩니다.
a에 10을 더해서 110
b에서 10을 빼서 0.4 뒷자리는 안 보셔도 됩니다.
b에서 10을 곱해서 104
a를 10으로 나눠서 10입니다.
2. 제곱
제곱을 타나 낼 때는 "**" 곱하는 연산자를 두 번 사용합니다.
a와 b를 2와 5로 재 선언해 2에 5승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써주세요
1
2
3
|
a = 2
b = 5
print(a**b)
|
cs |
실행하면 2의 5승인 32가 마지막에 출력될 것입니다.
3. 나눗셈 후
나눗셈을 한 뒤 나머지와 몫을 사용할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어떻게 할까요?
나눗셈 후 나머지는 "%"연산자가 반환해주고 나눗셈 후 몫은 "//"연산자가 반환해줍니다.
이번에는 앞에서 선언한 a와 b를 다시 사용해 봅시다.
1
2
3
|
print(b%a)
print(b//a)
print(b/a)
|
cs |
이제 실행 결과를 볼까요?
다른 출력되는 결과물이 많지만 우리가 봐야 할 것은 밑에 3개입니다.
이번에는 3개만 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요약
숫자형 데이터 타입은 정수 실수 16진수 등이 존재하고
연산을 할 때는 연산자를 이용해서 연산할 수 있다.
※숙제
실수 a와 실수 b를 더하고 값을 c라는 변수에 담고
정수 d와 정수 e를 더한 뒤 값을 f변수에 담고
c와 f를 합쳐주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숫자형 자료형을 배워보고 변수에 값을 선언해보며
type이라는 함수를 이용해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