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중급2 (if - 조건문)
파이썬 IF문
IF문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특정한 상황에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판기 음식점에서 1번을 선택하면 돈까스를 2번을 선택하면 피자를 줘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User)의 선택에 따라서 맞는 메뉴를 줘야 할 것입니다.
그런 조건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 IF문입니다.
IF는 만약이란 뜻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1번이라면 돈가스 만약 2번이라면 피자 이런 식으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입니다.
IF문의 선언 법
앞에서 지겹도록 켜라고 말한 파이썬 IDLE과 코드 사진은 생략하겠습니다.
주석과 동일한 코드를 실행시킨 결과물만 올리고 저장할 파일명은 사진 밑에 써두겠습니다.
IF문은 만약 ~~ 이라면 말처럼 뒤에는 조건이 붙어야 합니다.
그리고 뒤에 있는 조건이 참이 되어야 실행이 됩니다.
기본적인 if문은 들어온 값이 True일 때 실행됩니다.
극단적인 예를 들면
1
2
3
4
|
if 1번을 선택시:
돈까스를 준다.
if 2번을 선택시:
피자를 준다.
|
cs |
이런 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그럼 제대로 된 사용법을 배우기 전에
"if 조건문:" 조건에 부합하여 실행할 코드들은 들여 쓰기(indentation)를 해줘야 합니다.
파이썬은 다른 언어들처럼 중괄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들여 쓰기로 실행할 범위를 지정해 줍니다.
그럼 앞에서 말한 문장을 코드로 만들어 봅시다.
1
2
3
4
5
6
|
user = int(input("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input함수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습니다.
if user == 1: #비교연산자 입니다.
print("돈까스") #들여쓰기를 했으므로 user가 1일때만 실행 됩니다.
if user == 2: #비교연산자 입니다.
print("피자") #들여쓰기를 했으므로 user가 2일때만 실행 됩니다.
print("를 줍니다.") #들여쓰기를 안했으므로 조건에 상관없이 실행 됩니다.
|
cs |
input함수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는 함수입니다.
우리가 "1"이라고 입력한 값을 저장하지만 input으로 받은 값은 str형으로 저장이 됩니다.
그래서 int함수라는 숫자형으로 변형해주는 함수를 이용해 str타입을 int로 변경해 저장하는 것입니다.
비교 연산자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의 종류는 6개가 있습니다.
기호 | 설명 |
x == y | x와 y랑 같은지 True/False를 반환 |
x != y | x와 y가 다른지 True/False를 반환 |
x > y | x가 y보다 큰지 True/False를 반환 |
x < y | x가 y보다 작은지 True/False를 반환 |
x >= y | x가 y보다 크거나 같은지 True/False를 반환 |
x <= y | x가 y보다 작거나 같은지 True/False를 반환 |
위의 예제를 참고해 주세요.
요약
1.IF함수로 조건식이 참이 될 때만 특정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2.INPUT함수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아서 값을 저장한다.
3.INT함수는 문자열이 숫자로 되어있으면 숫자로 변환해준다.
4. 비교 연산자로 두 개의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숙제
INPUT함수와 비교 연산자를 이용해 자판기를 만들어 보세요.
다음 시간에는 else문을 배워보겠습니다.